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Mysql -> SQLITE 변환] SQLITE에서 IF문 처리 Mysql을 SQLITE로 변환중 IF문에서 "no such function: IF" 라고 IF문이 없다고 에러 발생 SQLITE에서 의 IF문은 CASE문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Mysql IF(user_type='3',pay_amount,0) AS pay_amount_person --SQLITE CASE WHEN(user_type='3') THEN pay_amount ELSE 0 END AS pay_amount_person 더보기 [DevExpress] Xtragrid의 임의 합계(Custom Summary) 설정하기 자동으로 생성되는 Summary로 Sum, Average, Max, Min등은 처리가 되지만 퍼센트의 경우 앞 컬럼의 값의 Summary로 다시 계산해야 하는 경우에는 임의로 Summary를 설정해야 한다. 1. Column에 Custom으로 Summary 추가 2. CustomSummaryCalculate 이벤트 연결하기 //임의 그래드의 컬럼 Col DevExpress.XtraGrid.Columns.GridColumn col = gridView1.Columns.AddField("PERC2"); //컬럼 Col의 Custom Summary를 추가하고 이벤트를 연결한다. col.SummaryItem.SummaryType = DevExpress.Data.SummaryItemType.Custom; gridV.. 더보기 Visual Studio 에서 Ctrl + 마우스 클릭시 정의로 이동 이전 버전의 Visual Studio에서 잘 쓰던 Ctrl +마우스 클릭시 클릭한 단어 선택 기능이 최신버전부터 해당 함수의 정의로 이동하여 해당 기능을 해제하고 원래 사용하던 단어 선택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1. Visual Studio에 도구(T) - 옵션(O)를 선택한다. 2. 옵션창에서 텍스트 편집기 - 일반 창으로 이동 3. "마우스 클릭을 사용하여 [정의로 이동] 수행(G)를 체크를 해제한다. - 저는 개인적으로 Alt + 클릭으로 사용하려고 체크를 해제하지 않고 Alt로 변경하였음. 더보기 REDIS DB의 클라이언트 외부 접속시 속도 테스트 진행 C# 샘플데이터로 속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 샘플데이터는 실시간 코인 값 데이터 10만개로 단일 키로 등록테스트 진행 1. [0.411초] 10만개 MySQL 로 가져오기 2. [0.377초] Json Seriallizing 하기 3. [0.535초] redis에 단일키로 저장하기 4. [0.459초] redis에서 단일키로 가져오기 5. [0.059초] Deseriallizing해서 DataTable로 만들기 6. [0.022초] DataTable 내용으로 Grid 채우기 샘플데이터 테스트 결론 생각보다 접속 및 단일키 가져오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저장 및 가져오기를 서버내에서 하지 않고 외부에서 할 경우에도 실용성이 있는지 의문임 C#의 Json Seriallizer가 생각보다 성능이 괜찮네??? 더보기 [Retrofit, OkHttp] Unexpected char 0x20 in header name OkHttp를 Retrofit으로 변경 작업중 아래와 같이 에러가 표시됨.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expected char 0x20 at 12 in header name: Content-Type 해당 에러 발생시 예기치 않은 0x20(스페이스)가 문제라고 함. 변경전 @Headers(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harset=utf-8" ) 변경후 @Header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harset=utf-8" 부분에서 키값과 " : " 사이에는 스페이스를 띄우면 안된다. "Content-Type:.. 더보기 [kotlin] 코틀린 파일 생성시 확장자(.kt)가 표시되는 이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내에서 코틀린 소스 파일중 유독 1개 파일만 확장자가 표시되고 아래 처럼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음. 확장자가 표시 안되고 아이콘(코틀린등)이 표시되는 조건 파일명과 파일내에 클래스명이 동일해야 함. 파일내에 클래스가 유일해야 함!!!(파일명과 이름이 같은 1개의 클래스만 존재해야 함 (아래처럼 하나의 파일내에 다른 클래스(HistoryAdapter)가 함께 있는 경우 확장자가 표시되고 아이콘이 변경됨. 별 내용이 아닌데 작업하는 내내 신경쓰이게 하는 부분이라 정리해 둠. 더보기 CentOS 에 vsftpd 설치하기 1. yum으로 vsftpd 설치하기 yum -y install vsftpd 2. vsftpd.conf 파일 수정하기 vi /etc/vsftpd/vsftpd.conf * 기본적으로 수정이 필요한 설정 # anonymous 접속 가능 여부 anonymous_enable=NO #유저 홈디렉토리보다 상위로 이동 접근 제한 chroot_local_user=YES #YES일 경우 standalone 형태로 운영(NO는 inetd로 운영) listen=YES #IP V6 접속 가능 여부 listen_ipv6=NO #Active Mode 실행 pasv_enable=YES pasv_max_port=11000 pasv_min_port=10000 3.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vsftpd 4. 서버 .. 더보기 [네이버 클라우드] 리눅스 서버 접속(초기 root 패스워드 확인) * 먼저 네이버 클라우드 리눅스 서버 생성시 저장해 두었던 인증키(*.pem)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콘솔에서 Server 리스트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서버를 선택 2.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선택 3. 서버 생성시 저장해 두었던 인증키(*.pem) 파일을 파란색 네모 부분으로 드래그 합니다. 4. pem 파일이 올라간 뒤에 "비밀번호 확인"을 클릭합니다. 5. 아래와 같이 최초 설정된 root 비밀번호를 확인(T26thB....) 6. SSH 프로그램으로 접속해 root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